728x90
소개
승자의 저주 문제는 1950년대 있었던 멕시코만의 석유 시추권 입찰 문제를 분석한 이후 경제학과 경매 이론에서 70대부터 알려지기 시작했다. 현장의 석유 생산량이나 미래의 석유 가격에 대해 종종 비현실적으로 높은 가정을 하여 향후 평균 수익률을 밑도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 즉, 승자의 저주는 가치 불확실성과 자산과 관련된 미래 수익 예측의 어려움에서 발생한다.
경매에서 낙찰자가 경매에 부쳐진 물건의 가치를 과대평가하여 과도한 대가를 치르는 경향 외에도 기업 인수합병, 정부 조달 등 다양한 맥락에서 발생할 수 있다.
효과
승자의 저주가 발동하면 결과는 부정적 일 수 있지만 경매되는 물건의 가치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입차자 간의 논의가 진행될 수도 있고, 상품의 가치를 추정하기 위한 더 나은 방안을 고민할 수 있으므로 다른 방향으로의 경쟁을 유도할 수도 있다. 말하자면, 저주를 받은 승자 이외의 축복받은 패자들에게 적은 비용의 교훈을 남겨 줄 수 있다.
사례
국내 사례로는 금호아시아나그룹의 대우건설과 대한통운 인수 건이 대표적이다. 인수 비용으로 인한 자금난으로 그룹 자체가 위기를 맞았다. 금호렌터카, 금호생명, 금호고속까지 팔아야했고, 2019년에는 아시아나항공까지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대한항공이 이를 인수하기로 했고 합병은 진행 중에 있다.
Reference
- Synthesis of information from various sources on the topic of the winner's curse.
- https://blog.naver.com/kjtimes1/222948638325
- https://www.linkedin.com/pulse/winners-curse-new-normal-uks-r4-offshore-wind-seabed-auctions-carmel
728x90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레인스토밍은 왜 효과가 없나 (0) | 2023.02.04 |
---|---|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 (0) | 2023.02.03 |
기회비용(Opportunity cost) (3) | 2023.02.02 |
에코 챔버(echo chamber)와 필터버블(filter bubble) (0) | 2023.02.01 |
팝콘 브레인(popcorn brain) 현상, 명상과 산책. (1) | 2023.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