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체2 스트레스, 제대로 알고 관리하자 현대인의 삶에서 스트레스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요소입니다. 하지만 스트레스는 단순히 기분의 문제만이 아닙니다. 우리의 몸과 뇌에 큰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는 건강에도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스트레스를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제 블로그에서 사람들이 자주 찾는 심박 변이도(HRV)와 편도체에 관한 용어 해설이 있습니다. 오늘은 용어 해설을 넘어서 이 두 가지와 스트레스 관리에 대해서 이야기 해봅시다. 심박 변이도(HRV): 스트레스의 과학적 지표심장 박동 간의 시간 간격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심장이 얼마나 유연하게 반응하는지를 보여주는 수치인데요. 일반적으로 HRV가 높을수록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고, 건강한 상태를.. 2025. 1. 5. 편도체(amygdala) 활성화와 억제 편도체(amygdala) 편도체는 뇌 변연계의 구성요소로 아몬드 모양이다. 편도체는 감정적 자극을 처리하고 반응하는 데 관여한다. 편도체는 심장 박동수의 증가나 스트레스 수준의 증가와 같은 생리적 반응을 유발하면서 활성화된다. 편도체는 특히 공포에 민감하다. 공포와 관련된 자극의 처리와 공포 반응의 생성에 관여한다. 두려움으로 인해 투쟁-도주 반응이 나타나는 것 역시 편도체의 역할로 인한 것이다. 육식 동물 등 포식자가 많던 과거 환경에서 편도체는 살아남는데 매우 큰 역할을 했다. 현대사회에는 포식자가 없다. 그러나 그에 준하는 위협을 느끼기 때문에 편도체 활성화는 늘 일어나는 일이다. 직장인은 상사 앞에서 편도체가 활성화되고, 학생은 선생이나 교수 또는 시험 앞에서 편도체가 활성화 된다. 반복적 위협은.. 2023. 2.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