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FUD(퍼드)는 Fear(공포), Unfincity(불확실 또는 불안), Doubt(의심)의 약자로, 제품이나 서비스 또는 경쟁업체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를 퍼뜨려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잠재 고객 또는 사용자의 마음에 의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사용되는 마케팅 또는 선전 기법이다.
문제
퍼드(FUD)는 부정적인 인식과 감정을 만들어 여론을 조종하고 제품이나 서비스의 채택이나 사용을 억제한다. 이 전략은 종종 잘못된 정보나 불완전한 정보에 기초하거나 심할 경우 조작된 뉴스이므로 비윤리적 일 수 있다. 기술과 비즈니스 측면에서 기업은 시장 우위를 점하기 위해 경쟁업체의 신용을 떨어뜨리거나 폄하하기 위해 종종 악용된다.
퍼드는 광고, 미디어 캠페인, 온라인 포럼과 소셜 미디어 플랫폼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 FUD는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잠식하고 극복하기 어려운 부정적인 인식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그 영향은 매우 크다. 이는 기업의 평판뿐만 아니라 재무 실적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에는 암호화폐와 관련한 FUD가 넘쳐나는 상황이다.
그러나 FUD는 드물지만 역효과를 일으켜 해당 제품 또는 서비스에 더 많은 관심을 끌 수도 있다. 일종의 노이즈로 인한 마케팅효과를 불러 일으키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사례
1. Microsoft 와Linux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에 마이크로소프트는 성장을 늦추고 지배적인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Linux 운영체제에 대한 FUD를 퍼뜨렸다는 비난을 받았다.마이크로소프트는 기업들과 소비자들이 리눅스를 채택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리눅스의 신뢰성과 보안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퍼뜨렸다는 비난을 받았다.
2. Apple vs.안드로이드
최근 몇 년 동안 스마트폰 업계에서의 지배적인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애플이 안드로이드에 대한 FUD를 퍼뜨린다는 보도가 있었다.애플은 소비자들이 iOS보다 안드로이드를 선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안드로이드 기기의 보안과 사생활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퍼뜨렸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3. Facebook vs.구글
페이스북이 온라인 광고 산업에서 지배적인 시장 점유율을 약화시키기 위해 구글에 대한 FUD를 퍼뜨린다는 보도가 있었다.페이스북은 기업들과 소비자들이 구글의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구글의 사생활 정책과 관행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퍼뜨렸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PU(Average Revenue Per User) (0) | 2023.02.10 |
---|---|
편도체(amygdala) 활성화와 억제 (1) | 2023.02.08 |
심박 변이도(HRV) (0) | 2023.02.05 |
브레인스토밍은 왜 효과가 없나 (0) | 2023.02.04 |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 (0) | 2023.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