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40 소비자물가지수(CPI)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는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다. 한국에서는 통계청에 매월 작성해서 발표하고, 미국에서도 고용통계국에서 매월 발표한다. CPI는 시간에 따른 물가 변화율인 인플레이션의 척도로 널리 사용된다. CPI는 생활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 정보는 사회 보장과 같은 정부 혜택을 조정하는 데 사용되며, 계층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세금 계층을 지수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CPI가 높을수록 생활비가 증가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낮은 CPI는 생활비가 감소하고 디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소비자 물가지수에 대한 좀 더 상세한 내용은 통계청에서 별도의 페이지로 작성하여 제공하고 있.. 2023. 1. 29. 인플레이션(Inflation) 경제학에서 인플레이션은 상품과 서비스의 전반적인 가격 수준이 증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소비자 물가 지수(CPI) 또는 생산자 물가 지수(PPI)로 측정된다. 이 지수들은 가계가 소비하거나 기업이 생산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 변화를 추적한다. 경제에서 상품과 서비스의 전반적인 가격 수준이 증가하면 반대로 화폐 가치가 떨어진다. 이는 개인의 생활 수준을 떨어뜨리고 기업의 계획과 예산을 더 어렵게 만드는 등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앙은행과 정부는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해 다양한 통화 및 재정 정책을 사용한다. 통화정책에는 이율 올리는 금리 정책과 시장에 돈을 푸는 양적완화 등의 도구가 포함되고, 재정정책에는 정부 지출과 세제 등의 조치가 포함된다. 인플레이션이 나쁜 것만은.. 2023. 1. 27. 공공재(Public Goods) 공공재는 배제할 수 없고 경쟁할 수 없는 재화이다. 제외 불가란 일단 재화가 제공되면 사람들이 이용하는 것을 막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경쟁적이란 한 사람이 상품을 사용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들도 상품을 사용하는 것을 막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한 사람이 공공재를 소비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양이 줄어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공재의 예로는 국방, 가로등, 기초연구 등이 있다. 예를 들어 국방은 국민이 국방의 혜택을 받는 것을 막기 어렵기 때문에 배제할 수 없으며, 한 사람이 국방을 사용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도 국방을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비경쟁적이다. 가로등은 가로등의 혜택을 사람들이 받는 것을 막기 어렵기 때문에 배제할 수 없고, 한 사람.. 2023. 1. 27. 한계 비용(marginal cost) 한계비용은 경제학에서 생산된 수량이 1단위 증가할 때 발생하는 총비용의 변화이다. 즉, 재화나 용역의 단위를 하나 더 생산하는 비용이다. 한계 비용은 상품과 서비스의 최적 생산 수준과 가격을 결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개념이다. 한계 비용과 총 생산 비용 사이의 관계는 종종 한계 비용 곡선을 사용하여 그래픽으로 표현되며, 일반적으로 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 기울기를 갖는다. 생산 한계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는 원자재, 노동력, 자본의 비용뿐만 아니라 생산에 사용되는 기술 등이 있다. 한계비용곡선(MC)은 생산의 한계비용과 생산된 재화나 용역의 양 사이의 관계를 그래픽으로 표현한 것이다. 곡선은 일반적으로 상승 기울기를 갖는데, 이는 생산되는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각 추가 단위를 생산하는 한계 .. 2023. 1. 26.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