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재는 배제할 수 없고 경쟁할 수 없는 재화이다. 제외 불가란 일단 재화가 제공되면 사람들이 이용하는 것을 막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경쟁적이란 한 사람이 상품을 사용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들도 상품을 사용하는 것을 막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한 사람이 공공재를 소비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양이 줄어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공재의 예로는 국방, 가로등, 기초연구 등이 있다. 예를 들어 국방은 국민이 국방의 혜택을 받는 것을 막기 어렵기 때문에 배제할 수 없으며, 한 사람이 국방을 사용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도 국방을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비경쟁적이다. 가로등은 가로등의 혜택을 사람들이 받는 것을 막기 어렵기 때문에 배제할 수 없고, 한 사람이 가로등을 사용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들도 가로등을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비경쟁적이다.
공공재는 수요와 공급이라는 전통적인 시장 모델에 잘 맞지 않기 때문에 시장 경제에 문제를 제기한다. 이들은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에 대한 대가를 요구하기 어렵고 따라서 이들을 제공하여 이익을 창출하기 어렵다.
공공재 제공은 민간이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부의 책임인 경우가 많다. 정부는 세금이나 채권 발행을 통해 공공재에 대한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게다가, 정부는 또한 상품이 효율적이고 공평하게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민간 기업에 의한 공공 상품의 제공을 규제할 수 있다.
+ 세금을 내지 않은 사람에게는 작동하지 않는 공공재라는 컨셉의 소설 소재를 생각한 적이 있다. 단편소설 소재로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균 실종과 정규분포 (1) | 2023.01.30 |
---|---|
에스컬레이션(escalation) (0) | 2023.01.29 |
소비자물가지수(CPI) (0) | 2023.01.29 |
인플레이션(Inflation) (0) | 2023.01.27 |
한계 비용(marginal cost) (0) | 2023.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