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 로빈스는 유명한 작가, 동기 부여 연설가, 그리고 수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삶을 통제하고 그들의 목표를 성취하도록 영감을 준 인생 코치입니다. 『5초의 법칙』, 『굿모닝 해빗』 등 그녀의 책은 미루기, 두려움, 그리고 자기 회의를 극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조언과 전략을 제공합니다.
그녀의 첫 번째 책의 초점인 『5초의 법칙』은 목표와 아이디어에 대해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간단하지만 강력한(?) 도구입니다. 그 규칙은 당신이 무언가를 하고 싶은 충동이 있을 때, 당신은 5에서 1까지 거꾸로 세고 나서 즉시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거꾸로 셈함으로써, 자신의 발목을 잡고 있는 생각을 멈추고 행동을 취하도록 강요한다고 말합니다.
전반적으로, 멜 로빈스의 책들은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신간인 굿모닝 해빗에서는 5초룰만큼이나 간단한 것을 소개합니다.
아침에 일어나 욕실로 뛰어가, 거울을 보고 하이파이브를 하는 것입니다. 원제는 『The High 5 Habit』입니다. 여기에서도 5초의 법칙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일어나자마자 5초 카운트다운을 하고 알람을 끄고 일어나 욕실로 신나게 뛰어가 자신을 독려하고 하이파이브하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매일 하이파이브를 하면서 자신을 위로하고 독려하면 삶에 변화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긍정 확언과 생각에 대한 효과에 대한 연구는 지속해서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어떤 연구에서는 긍정적 마인드가 낮은 자존감을 가진 학생에게 어떤 일을 더 잘 수행하도록 도움이 되는 것을 발견했고, 더 높은 수준의 자존감과 자기 효능감 있음을 보고 하고 있습니다. 2008년에 마이클 인즐리히트의 연구에 의하면 자기 확인이 학업 성취도, 신체 건강 행동, 충동 조절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서 자기 통제를 향상시킨다는 내용도 있습니다. 또한 자기 긍정이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특히 수학과 과학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내용도 있습니다. 이에 대한 출처는 문서 하단에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긍정이 누구에게나 통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그래도 아침에 거울을 보면서 스스로를 격려한다고 다른 사람이 피해를 보진 않을 테니 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또 다른 사람들 앞에서 외치는 부끄러운 일도 아니니까요. 저는... 하고 있습니다. 일주일이 조금 넘었습니다.
끝으로 50만뷰가 넘은 멜 로빈스의 TED 강연 "How to Stop Screwing Yourself Over(당신을 말아먹는 것을 멈추는 법)"을 소개하면서 마치겠습니다.
Reference
Neff, John C. and Kristin R. Kocan. "Increasing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hrough positive self-statemen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6, no. 3 (2002): 379-388.
Inzlicht, Michael, Tracy L. McKay, and Andrew L. Ely. "The effects of self-affirmation on self-control."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2, no. 2 (2008): 177-192.
Cohen, Geoffrey L., Julio Garcia, and Nelli N. Turban. "The effects of self-affirmation on academic performance." Motivation and Emotion 37, no. 2 (2013): 229-243.
Roitman, Mark W., Terri Wilder, and others. "The effects of a web-based intervention delivering positive affirmations on HIV medication adherenc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Internal Medicine 176, no. 1 (2016): 92-99.
+ 추가사항
굿모닝 해빗에서 몇 줄 발췌합니다.
‘나는 나 자신을 사랑한다.’와 같은 만트라 문장을 반복하면 강력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만트라의 내용을 진심으로 믿지 않으면서 말하기만 하면 마음은 즉시 그 내용을 거부할 이유를 찾는다.
우리는 거울 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비판하고 자신을 위해 시간 쓰는 것에 죄의식을 느끼는 어머니와 자신의 감정을 좀처럼 표현하지 않고 돈을 얼마나 버는지를 기준으로 자기 가치를 측정하는 아버지 밑에서 자랐다.
나는 여전히 내가 꿈꾸던 동네에 살고 있지도 않고 로스쿨 시절을 돌이킬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대신 과거에 집착하고 끊임없이 스스로 비난하는 습관을 버렸다. 변화를 일으키는 데 단기 속성 코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몰랐을 뿐이다. 자기혐오를 극복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자신을 용서하는 것이다. 생존 모드로 살았을 때 한 모든 행동을 용서하라. 그다음으로 머릿속에 사는 불청객을 침묵시키고 쫓아내라.
당신의 뇌 속에는 망상활성계Reticular Activating System가 존재한다. 두뇌를 감싸고 있는 살아 있는 신경세포망이다. 나는 이것을 ‘필터’라고 부른다. 망상활성계가 과거의 생각 들로 꽉 막히면 당신은 과거에 갇혀버린다. 그것이 바로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고 계속 부정적인 생각을 하면서 살아가게 되는 이유이다.
그래서 나는 ‘5초의 법칙’이라는 것을 만들어냈다. 나사NASA에서 로켓을 발사할 때 카운트다운 하듯 부정적인 사고가 나를 마비시키기 전에 카운트다운 후 행동하는 것이다. 정말 진지하게 주는 팁이다. 알람이 울린다. 알람의 일시 정지 버튼을 누르지 않는다. 뒤척이며 베개에 머리를 파묻고 현실 도피하지 않는다. ‘5-4-3-2-1’이라고 숫자를 센 후 행동개시!
지금부터 3주 후에는 반드시 무언가를 바꾸겠다고 마음먹어라. 이를테면, 헬스장을 다닌다. 직장을 관둔다. 불필요한 관계를 끊는다. 소설 집필을 시작한다. 새로운 건강 습관 을 실천한다. 이를 위해 앞으로 3주 동안 활주로를 만들고 준비하라. 매일 자신과 하이파이브하고 자신을 준비시키며 앞으로 나아가라.
각자 자신의 등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당신 꿈의 목적은 ‘당신’이다. 우리는 종종 무언가에 의존하는 실수를 저지른다. 요란한 연애나 화려한 직업, 비싼 집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것들이 하이파이브 그 자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는 그 반대인데도 말이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틀릴 수도 있습니다 (2) | 2023.01.29 |
---|---|
인플레이션(Inflation) (0) | 2023.01.27 |
공공재(Public Goods) (0) | 2023.01.27 |
한계 비용(marginal cost) (0) | 2023.01.26 |
소로스의 투자 특강. 아니, 철학 특강. (0) | 2023.01.26 |
댓글